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울집값

6·27 대출 규제, 서울 아파트 시장에 무슨 일이? 현장 사례와 사진으로 보는 변화 “서울 아파트 10채 중 7채, 대출 한도에 걸렸다!” 6월 27일,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대출 규제가 시행되자 시장과 현장은 그야말로 ‘패닉’에 빠졌습니다. 대출 한도 6억 원 제한, 갭투자 전면 금지, 실수요자까지 규제… “이러다 정말 서울 집값이 잡힐까?”지금부터 실제 사례를 보면서 변화의 핵심을 쉽고 생생하게 정리해 드립니다.6·27 대출 규제, 뭐가 달라졌나?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칼 제한’ 소득·집값과 무관하게 서울·수도권·규제지역 모두 적용. 평균 13억 5천만원인 서울 아파트를 사려면 7억 5천만원 넘는 현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갭투자 전면 금지 2주택 이상자는 대출 불가, 1주택자·무주택자도 6개월 내 실거주 의무 부과. 전입 안 하면 대출 회수.정책대출(디딤돌·보금자리론 등) 한도 .. 더보기
2025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신고가, 서울 집값 상승 확산 이유는? 최근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등 강남이 아닌 지역에서도 집을 보지 않고 사는 '패닉바잉' 현상과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투자·실수요가 강남에서 마포, 성동 등으로 이동한 결과입니다.2025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 그리고 하반기 시장 전망까지 핵심만 정리합니다.마포래미안푸르지오, 왜 신고가 행진?토지거래허가구역(강남3구·용산) 재지정 후 투자 수요가 인근 비규제 지역으로 이동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는 서울 거래량 1위, 하루 1건꼴로 거매물이 줄어들며 집을 보지 않고 계약하는 사례까지 등장전용 84㎡, 59㎡, 114㎡, 145㎡ 등 모든 평형에서 신고가 경신 * 84㎡ C타입 22억5000만원(2025년 5월), 59.. 더보기
중국인 한국부동산 구입, 규제의 허점과 불법거래 정책 어디로 가나? 최근 서울을 비롯한 국내 부동산 시장에 외국인, 특히 중국인 투자자들이 다시 몰려들고 있다는 소식이 연일 화제입니다.집값이 오르자마자 외국인 매수세가 다시 살아나고, 내국인 역차별 논란까지 번지고 있는데요.오늘은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우리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해외 주요국과의 규제 비교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1. 중국인 포함 외국인 부동산 사냥이 다시 불붙었다.한동안 주춤하던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입이 최근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2025년 4월 한 달 동안 서울에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을 매입한 외국인은 148명으로, 전월 대비 10.4% 증가했어요.특히, 중국인의 비중이 압도적입니다. 4월 외국인 매수자 148명 중 81명이 중국인이었고, 이는 전체의 55.. 더보기

반응형